• 목돈 만드는 노하우는?
  • 1. 급여통장월급이 들어오는 통장, 고정 지출을 관리하는 통장 (공과금, 보험료, 아파트관리비 등) 입니다.말 그대로 월급쟁이의 경우 급여가 들어오는 통장입니다. 개인 사업자는 조금 다르게 부를 수있겠지만 기본적으로 경제활동을 통한 수입이 들어오는 통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급여통장은 일반 예금통장 or CMA 통장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수료 면제나 각종혜택을 잘 따져...더보기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에라시디아님 원글보기
메모 :

 

 

1. 급여통장
월급이 들어오는 통장, 고정 지출을 관리하는 통장 (공과금, 보험료, 아파트관리비 등) 입니다.
말 그대로 월급쟁이의 경우 급여가 들어오는 통장입니다. 개인 사업자는 조금 다르게 부를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경제활동을 통한 수입이 들어오는 통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급여통장은 일반 예금통장 or CMA 통장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수료 면제나 각종
혜택을 잘 따져서 통장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CMA 통장을 개설하는 것이 유리하기도 합니다.


2. 소비통장
매월 변동하는 지출을 관리하기 위한 소비통장 (식비, 교통비, 생활비 등) 입니다.
매달 생활하는 데 필요한 돈을 넣어두는 통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과거의 생활비 지출내용을
잘 참고 해서 넣어두고 활용하며 '일반 예금통장 or CMA 통장'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각종 공과금이나 보험료는 소비통장에서 자동으로 나갈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연말정산을 할 때 소득공제나 지출 내용을 통제하고 싶다면 체크카드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1년부터는 체크카드만 25% 소득공제가 가능하므로 신용카드를
통한 무절제한 소비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3. 투자통장
펀드, 주식, 적금 등의 금융상품 투자 or 연금보험료 등을 지출하기 위한 통장입니다.
자동이체 되는 날짜를 미리 체크해서 전체적으로 자동이체 되는 상품 중에서 가장 먼저 날짜가
돌아오는 상품보다는 먼저 돈을 입금해 놓아야 할 것입니다. 특히, 보험 같은 경우에는 2개월
이상 연체가 되면 실효가 되어서 다시 부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니 주의하세요.
혹시, 투자통장에 남는 돈이 있다면 이 돈을 여유자금이 들어 있는 예비자금 통장으로 보내고,
예비자금 통장에 모인 돈이 자신이 정했던 돈을 넘을 때 다시 투자하는 패턴으로 진행합니다.


4. 예비자금 통장
만약의 일을 대비해서 비상금을 넣어두기 위한 통장입니다.
현금흐름을 살피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예비자금인데요.
갑작스러운 사고가 일어나든지 예상치 못한 지출내용이 생겼을 때를

대비해서 마련해 놓는 자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리부터 여유 있는 자금을 마련해서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CMA와 같은 상품은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지급되므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