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5월 10일이 석가탄신일인 공휴일이었다.

월요일 근무 끝나고 부리나케 강원도로 고고씽~

퇴근후 출발했으므로 깜깜해서 도착한 터라

미리 예약해 둔 아침고요수목원 근처의 팬션에서 하루밤 쉬고...

담날 아침 일어나서 아침고요수목원에 갔다.

 

 

 

방에서 출발하기 전^^

 

 

 

 

 

 

 

 

 

 

 

비가 왔지만 나름 운치있고 괜찮았다.

 

다음으로 간 곳은 벼르고 벼르던 남이섬...

선착장에서 그 유명한 춘천닭갈비를 먹었는데 별루였다.

지금 생각해도 그게 참 아쉽다능...ㅠㅠ

 

 

 

 

 

 

 

 

 

아쉬운 하루를 마무리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 후 지금까지 여행을 가지 못했다.

둘 다 어디 다니는 것보다 집에서 쉬는 걸 좋아하는 성격이라

큰 맘 먹어야 갈 수 있는게 여행이다...

아! 신혼여행은 다녀왔지~

다음은 신혼여행 이야기~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공원 장미축제  (0) 2012.06.07
북악스카이웨이~  (0) 2012.04.09
[스크랩] CNN 선정, 꼭 가봐야 할 한국 여행지  (0) 2012.04.02
보라카이 3박 5일~  (0) 2012.03.05
까오~ 신혼여행(1) - 가면서&파리에서  (0) 2012.01.09

나는 ... 이렇게 한다. 글을 열심히 게재 중...

아직은 부끄러워서 다른 사람들에게 오픈하지 못하고 있지만

나중엔 괜찮은 정보들을 오픈할 날이 오지 않을까...

ㅋㅋㅋ

 

짠돌이 카페에 자주 들어가서 글을 본다.

특히 굿바이신용카드 게시판에 자주 들어가는 편이다.

사실 신용카드는 통제하지 못하면 결국 빚만 쌓여가므로

통제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비사용을 권장한다.

 

그러나 나처럼 삶이 짠돌이인 사람은

지출 통제가 되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을 위해 나의 방식을 공개해 본다.

나는 어차피 써야할 금액이면 신용카드로 결제한다.

혜택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신용카드 사용하기 (1)

생활비는 고정되어 있다. 나는 월별 예산에 따라 조금씩 변동이 있는데

거의 20만원 ~ 30만원 사이이다.

이 금액으로 식비, 생활용품비, 의류비(소소한 것들), 이미용비, 기타로 사용한다.

(기념일에 쓰는 돈은 매월 지출되는 금액이 아니므로

이 금액에 포함하지 않고 경조사비나 예비비에서 사용한다.)

책정된 생활비 안에서 한달을 생활해야 하므로

신용카드를 마구 긁을 수는 없다.

대형마트 가거나 식료품 등 꼭 필요한 금액을 사용해야 할 경우,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즉시 신용카드 결제 통장(CMA)으로 이체 시켜놓고 잊어버린다.

(그러면 결제일까지 CMA 통장 이자도 붙는다^^)

가계부에서는 즉시 지출한 것으로 표시하면 된다.(아래글에 있는 가계부 양식 참조)

 

  - 여기서 잠깐,

+ 내 신용카드는 신한 하이포인트 카드이다.

연회비는 제일 저렴한 것이 국내 전용 8천원이지만

일년에 포인트만 해도 약 60만원 정도 되므로 연회비는 뽑고도 남지~

+ 월 150만원 이상 사용하면 어느 가맹점에서든 2%의 포인트가 적립된다.

즉, 10만원을 사용할 경우 2000원이 적립된다.

150만원을 사용하면 3만점, 250만원을 사용하면 5만점.

+ 단점은 최대 포인트 적립금이 5만원이라는 것.

아무리 많이 사용해도 5만점 이상은 적립되지 않는다는 것.

또한 무이자 할부를 이용할 경우엔 포인트가 적립이 되지 않는다는 것.

나는 거의 할부를 이용하지 않는다. 다 빚이기 때문이다.

 

* 신용카드 사용하기 (2)

내 명의로 카드를 만든 후, 가족카드를 발급한다.

+ 엄마는 식당을 운영하시기 때문에 필요 물품을 구입해야 하고

  이왕 구입하는 거 신용카드 일시불로 결제하면

  사용일을 매월 1일 ~ 말일까지로 설정해 놓았기에

  나중에 결제할 때 그 달에 총사용한 금액이 얼마인지 알 수 있고

  포인트까지 덤으로 받고...

  사실 엄마가 적립해 주는 포인트가 적지 않다.

  그래서 가끔 한 번은 적립된 포인트를 엄마에게 송금해 드리기도 한다.

+ 아빠는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사용하고,

  주로 할부 쓰실 때 사용하시는데, 실적에 반영이 되니까 혜택이 따라 온다.

+ 신랑은 아직...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신랑에게까지 이 카드를 사용하게 유도하진 못했다.

  신랑은 카드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현금 결제하는 일이 많다...

+ 이렇게 한 카드를 몰아서 사용하면 연간 사용 실적이 반영되어 카드사의 우수고객으로 선정되고

  같은 회사인 신한은행에서도 우수고객의 혜택(수수료면제, 환전 수수료 할인 등) ,

  카드 2-3개월 무이자, 연회비 면제 등 이로운 점이 많이 있다.

 

* 신용카드 사용하기 (3)

경조사에 필요한 물건 살 때, 혹은 선물 살 때 비용 발생 부분이 있으니까

어차피 써야 하는 금액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거다.

단, 할부일 경우 포인트 적립이 되지 않으므로 나는 할부를 이용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과소비를 하거나 충동 구매를 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이 또한 사용한 후 바로 결제 통장으로 이체 시켜 놓는다.

(경조사비 별도로 관리하는 통장에서 지출로 처리하고 카드 결제 통장으로 바로 이체한다.)

 

* 신용카드 사용하기 (4)

이렇게 적립되는 포인트는 매월 적게는 4만점에서 많게는 6만점까지인데

(하이포인트 적립 한도는 5만원이지만

간혹 신한카드 포인트가 적립되는 가맹점들은 추가로 포인트가 적립된다.)

이 포인트는 매월 현금으로 캐시백 받아 장기로 넣어놓는 월복리 자유 적금 통장에 넣는다.

공짜로 굴러들어온 돈이니 없어도 생활하는데는 지장이 없고

월 5만원이면 작다면 작고 많다면 많은 금액이므로

적금을 넣어두고 3년짜리 적금이므로 없는셈 친다.

 

* 신용카드 사용하기 (5)

위에서도 얘기했지만 사용한 금액은 바로바로 결제 통장으로 이체시키는데

CMA 통장을 사용한다.

결제일을 최대한 멀리 잡아놓으면 사용한 금액을 바로 이체해 놓을 경우

이미 결제한 돈이라 생각하면 그 돈이 CMA 통장에 모이게 되고

이 금액은 결제일까지 한푼이라도 이자를 건질 수 있다.

알다시피, CMA 통장은 한푼이라도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기 때문이다.

(여기에 고정지출도 같은 원리로 월급과 최대한 멀리 이체일을 설정해 놓고

월급 받은 날 바로 이 통장으로 이체 시켜놓으면

자동이체될 때까지는 이자가 붙으니까 일석이조)

이렇게해서 쌓인 이자는 또 월복리 통장으로 고고씽~

 

* 신용카드 사용하기 (6)

위에서 적립한도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적립한도는 250만원 일시불 결제했을 때 5만원 적립이다.

250만원을 초과 사용할 경우 신용카드사만 돈 벌어주는 격.

특히, 3대 대형할인마트는 최대 적립률이 5%이므로

전월 사용 150만원 이상일 경우, 10만원 사용당 5천원이 적립된다.

이 경우는 250만원보다 적게 사용해도 5만점이 되므로

가계부에 따로 표기를 해 두었다가 5만점이 초과되었을 때는

다른 혜택이 있는 카드를 사용하면 한다.

 

* 신용카드 사용하기 (7) - 포인트 적립법

위에서 말했지만 한 카드 당 포인트 적립 최고 한도는 5만점이다.

할부 결제했던 것을 일시불로 선결제했더니

원래 할부할 때 적립되는 가맹점 적립 포인트가 일시불로 적립되면서

포인트 한도로 채워져 버린것. 아까운 내 포인트 ㅠㅠ (16000원 가량 손해 봤다ㅠㅠ)

그래서 고객센터 전화해서 따졌다.

이런 식이면 신한카드는 정해진 만큼만 쓰고 그 이상은 신한카드를 안 쓰지 않겠냐,

고객입장에서 화가 난다, 그러면 카드사도 손해지 않겠냐 등등.. 

(나는 신한카드 우수고객이다.)

원칙이 그래서 어쩔 수 없으니 미안하다며

그러면 나노카드를 하나 더 만들면 각각 5만원씩 월 10만포인트까지 적립이 된다네...

올레~

그러면 엄마, 아빠는 가족카드로 하이포인트 카드 쓰시라고 하고

나는 나노카드를 쓰면 더 많은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겠네...

 

최대 5만점밖에 적립되지 않기에 현대 제로 카드(무조건 0.7% 할인되는 카드) 만들었는데

나노카드 만들었으니 쓸일이 없게 생겼네...

연회비만 나가고... 괜히 만들었어~ 괜히 만들었어~

남들은 카드 없애기 노력한다는데 나는 자꾸 만들고 있네~

나처럼 절제가 가능한 사람에게만 추천하는 방법이다.

(카드를 5개 소유하고 있지만 신한카드 2개만 쓰고 있다.

사실 나머지는 없어도 되는데

연회비 없는 카드라 그냥 두는 것 롯데카드 1개,

최근 만든 현대 제로카드 1개,

농협비씨카드는 내가 젤 첨 만든 카드라 애착이 있어서

못 없애고 있다. 카드론 혜택이 좋은편이라 비상용으로...)

 

###  그치만 절제 안 되는 사람은 카드 만들기 절대로~ 네버~ 노노~~!!!

 

* 신용카드 사용하기 (8) - 포인트 적립법2

신한 올댓서비스를 이용하면 추가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다.

인터넷 쇼핑을 할 때 일단 장바구니에 넣어놓은 다음

신한 올댓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다시 인터넷 쇼핑몰로 들어가서 신한카드로 결제할 경우,

각 사이트마다 지정되어 있는 추가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적게는 2%에서 많게는 7~8%까지...

요즘은 각 사이트 별로 바로접속을 하면 더 많은 혜택을 주는 경우가 있어

예전에 비해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그것 또한 적지 않은 혜택이라 비교해 보고 사용하길 권한다.

 

헐~ 내가 무슨 신한카드 홍보대사 같다....

그건 아닌데... 아무래도 혜택을 많이 누리다 보니 자연적인 현상으로다가...

 

 

참 쉽죠잉~

하지만 실천하려면 상당히 부지런해야한다.

사실 사용할 때마다 이체 시킨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닐 거다.

그치만 신용카드사만 좋은 일 시킬 게 뭐람.

나도 덕 좀 보자는데...

이렇게 해서 매달 CMA 이자로 5천원 이상의 소득이 들어온다.

땅을 하루종일 파도 5천원 주울 수 없는데 말이다.

ㅋㅋㅋ

 

번외로,

아파트 관리비는 꼭 내야 하는 금액이다.

나도 어떤 블로그에서 글을 읽다가 알게 된 건데...

아파트아이(apti)라는 사이트는

홈플러스 디지털 상품권을 포인트로 전환하여 사용가능하다.

회원가입 하면 아파트아이를 통해서 결제가 가능한데

홈플러스 디지털상품권이 가끔 행사를 하면

10만원에 2천원 더 적립 또는 20만원에 5천원 더 적립 등 혜택이 있다.

어차피 이사가지 않는 한 내야하는 아파트 관리비이니

행사할때 디지털상품권에 금액을 충전하면 몇 천원이라도 아낄 수 있으니 좋은 정보이다.

디지털상품권에 있는 금액은 홈플러스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도 사용가능하니

이사를 가더라도 그 금액은 어디 가는게 아니다.

또한 디지털상품권을 구입할 때도 카드 결제가 가능하기에

카드 실적에도 반영되고 카드 포인트도 덤으로 적립되고...ㅋㅋㅋ

(10만원 결제시 5% 적립되면 5천포인트가 덤으로 적립되니까

위에서 말한 행사 시 추가 적립 외의 덤인 셈.)

다만, 매월 한번씩 디지털상품권에 있는 금액을 포인트로 전환하여

5일을 기다린 후 결제해야 하므로 정신을 차리지 않으면 놓치게 된다.

 

부자가 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만큼 부지런해야 하고 정보도 많아야 한다.

아는 만큼 절약할 수 있고 돈을 모을 수 있는 것 같다.

 

이 글이 언젠가는 누군가에게는 유용해 지는 날이 오기를 바라며...

 

 

p.s.

이번달은 신한 올댓 서비스를 통해서 아빠 고가 물건 샀더니 포인트가 많이 쌓였다~

105,000원을 캐시백 받았당~ㅋㅋㅋ

 

아참참...

나는 신한카드 탑스클럽(우수고객)이어서

1만점 이상 1000원 단위로 무조건 캐시백이 가능하다.

일반 등급의 고객은 5만점에서 10만점으로 캐시백 기준이 바뀌었다고 알고 있다.

10만점 모으는 거 나같은 케이스가 아니고는  쉽지 않을테니

포인트로 결제할 수 있는 방법도 연구해 봐야할 듯 싶다.

블로그 운영이 아직은 익숙지 않아 어제 작성하다 만 글이 자동 저장되어 있을 줄 알았는데 없넹 ㅠㅠ

 

어릴 때부터 용돈기입장을 쓰던 나...

이미 익숙해져서 가계부 쓰는 건 삶의 일부다.

더군다나 나는 예전에 뭐 샀는지, 얼마에 샀는지 비교분석을 자주 하기 때문에

가계부 작성은 필수!

그래서 항목마다 좀 더 상세히 몇 g, 몇 ml, 몇 개 등을 적는 편.

가계부 작성이 익숙치 않은 사람은 어쩌면 내 가계부를 불편해 할지도 모르겠다.

내 가계부는 내가 예전부터 써 오던 방식에서 수정을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1) 1년의 지출을 한눈에

2) 경조사 통장이나 세금 통장은 따로 관리

3) 월 고정 지출

4) 생활비 상세

 

예비비는 경조사 통장과 함께 쓰고 있다.

내 용돈 관리도 따로 하지만 그건 누구나 할 수 있는 간단한 거니까 생략.

이렇게 구분하여 정리하면 한 눈에 들어오니까 보기가 편리하고 머리속에 정리가 잘 된다.

 

* 1년 지출을 한 눈에~

 

대항목 소항목 년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비고
2012년 고정수입 영진 0                          
2012년 고정수입 미현 0                          
2012년 유동수입 0                          
수입 계 0 0 0 0 0 0 0 0 0 0 0 0 0  
보험 종신보험 0                          
  운전자보험 0                          
  실비보험 0                          
  소계 0 0 0 0 0 0 0 0 0 0 0 0 0  
장기 동부 장기 0                          
  청약 저축 0                          
  현 적금 0                          
  소계 0 0 0 0 0 0 0 0 0 0 0 0 0  
예금 예비비 적립 0                          
  대출금적립 0                          
  부수입적립 0                          
  소계 0 0 0 0 0 0 0 0 0 0 0 0 0  
단기 월복리 0                          
  대출상환 0                          
  소계 0 0 0 0 0 0 0 0 0 0 0 0 0  
세금 TV패키지 0                          
  가스비 0                          
  휴대폰(현) 0                          
  교통 0                          
  대출수수료 0                          
  관리비 0                          
  전기세 0                          
  TV시청료 0                          
  상수도 0                          
  하수도 0                          
  물이용부담금 0                          
  소계 0 0 0 0 0 0 0 0 0 0 0 0 0  
생활 식비 0                          
  생활비 0                          
  지니혀니용돈 0                          
  의류비 0                          
  미용 0                          
  경조사 적립 0                          
  경조사 고정 0                          
  경조사 지출 0                          
  기타수수료 0                          
  소계 0 0 0 0 0 0 0 0 0 0 0 0 0  
합계   0 0 0 0 0 0 0 0 0 0 0 0 0  
잔액   0                          

 

미리 연산을 걸어 놓고 숫자를 넣으면 월합계, 연합계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자산은 얼마인지, 매월 항목마다 얼만큼의 지출이 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고,

월평균 금액도 쉽게 알 수 있다.

 

* 경조사 통장이나 세금 통장은 따로 관리

 

날짜 내역 금액 경조사&예비비 122
       
11/10 11월 적립 450,000  
  친정 -30,000  
  시댁 -50,000  
  축의 -100,000  
11/11 엄마보험 -5,570  
11/14 외숙모님 생신 선물 -60,000  
12/4 결산이자 120  
12/5 12월 적립 700,000  
12/10 시댁 -50,000  
  친정 -30,000  
  엄마보험 -5,570  
12/26 신랑 생일케익+빵 -23,400  
1/2 1월 적립 800,000 급여인상분 포함
12/26 신랑 생일 선물 -122,100  
1/7 혀니 치과 -105,100  
1/10 경조사 1월 적립2   437,064
  친정 1월 정기   -30,000
  시댁 1월 정기   -50,000
1/21 명절 친정   -200,000
  명절 시댁   -200,000
1/26 아빠 생신   -200,000
       
       
       
  1,368,380  

 

비고란에는 앞으로 사용할 금액을 미리 적어 놓았다.

그러면 예산이 나오고 이에 따라 매월 적립률을 그달의 필요에 따라 예측하여 적립하는 거다.

처음에는 월 20만원 적립하여 매달 고정으로 나가는 경조사까지 포함시키려 했지만

소소하게 경조사비는 마니 나가는 거다.

시댁 식구, 친정 식구가 많아서...

거기다 2월엔 막내 아가씨 결혼식까지 있어서 100만원 적립 목표 세우고 6개월째 적립하고 있지만

결국 아직도 100만원을 모으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달부터 인상한 급여 인상분까지 경조사에 적립해야 한다.

결혼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예산 편성을 새롭게 하다보니 예비비를 어느 정도 적립해야 된다는 생각에

신랑 월급의 10%는 6개월 정기적금에 들고 있어서 아직은 경조사 통장이 간단하지만

예비비가 어느 정도 모이면 경조사 통장과 함께 사용할 계획이다.

그러면 가계부도 조금은 복잡해 지겠지만... 여튼...

아! 경조사 통장이나 예비비 통장은 하루라도 넣어두면 이자를 주는 CMA 통장에 넣어두면 좋다.

 

 

* 월 고정 지출

1                            
내역 항목 통장 수입 적금 보험료 헌금 경조사 수수료및세금 생활비 기타 합계 비고
                             
1 21 대출금 적립 (설보너스) 적립     900,000                
  10 아파트 대출 수수료 수수료             400,000        
                             
1 10 급여인상분 경조사 적립 경조사           100,000          
  10 정기 적립 경조사           114,430          
  10 시댁 경조사           50,000          
  10 친정 경조사           30,000          
  11 엄마보험 경조사           5,570          
  11 설 경조사비 적립1 경조사           62,936          
  11 설 경조사비 적립2 경조사           437,064          
                             
1 25 동부프로미장기저축보험 장기     100,000               37년12/28만기
  25 혀니_동부화재 현보험       29,510              
                             
1 25 연금보험 계획 중 장기                      
  25 지니_종신보험 진보험       154,100              
  25 지니_운전자보험 진보험       72,000              
  25 혀니_대한생명 현보험       78,626              
  25 LIG 장기보험 장기     120,000               26년9/15만기
  25 지니_적금2 (예비비) 예금     230,000               8~2월만기
  25 청약저축 예금     20,000                
                             
1 26 혀니_적금1 예금     79,660                
  26 혀니_적금2 예금     80,250                 날짜  
  26 지니_적금1 예금     268,790                    
                              23,000 현금
1 2 혀니_급여 수입   1,200,000                   82,704 김대리
  10 지니_급여 수입   2,300,000                   105,704 합계
    상여금_설 수입   1,000,000                      
                              237,064 이번달 생활비
1 2 생활비 (식,생활,의류,미용) 생활비               237,064       130,860 생활비 지출
    지니 용돈 (현금) 생활비               50,000       105,704 생활비 잔액
    혀니 용돈 (신한체크) 생활비               50,000          
    세금적립 (세금,관리비,교통비) 세금               350,000       106,400 홈플디지털카드
1 2 기타           480,000             0 1월 지출
                              106,400 잔액
    월계     4,500,000 1,798,700 334,236 480,000 800,000 400,000 687,064 0 4,500,000 0

 

 

 

* 생활비 상세

 

날짜 내역 식비(카) 식비(현) 생활비(카) 생활비(현) 의류비(카) 의류비(현) 미용(카) 미용(현) 기타 합계 비고
1/1 롯데마트 저녁식사 11,800                 11,800 비씨카드
  우유200ml*6 3,900                    
  밀키스 980                    
  미니웨하스 1,280                    
  자갈치 610                    
  오사쯔 960                    
  슈크림빵 1,540                    
  골라담기 과자*6 2,950                    
  샤니 땅콩빵 1,300                 13,520 비씨카드
  나가사끼 짬뽕라면*3   2,850             150    
  라이너22p*4개       4,400             gs왓슨스
  아트릭스 스트롱*2개     6,700         -11,100   포인트결제
  칼라도마     1,000                
  영진빨래집게24p     1,000                
  화장품리필용기3단     1,000                
  썬키스트캔디 1,500                    
  호일 3,000                    
  머리고무줄*2 1,000                   다이소
  매직스펀지미니 40p 2,000                 10,500 신한카드
1/2 치킨 17,000                 17,000  
  ?                 890    
1/4 나리김밥   5,000                  
  대파   1,000                  
  담임목사님 가글                 3,000    
  오렌지주스*3 4,050                    
  자연은알로에 1,480                    
  에이스샌드 1,120                    
  초코하임 2,640                    
  봉지     30             9,320  
1/7 지니 정장 벨트         15,000            
  기스면5+1 3,950                    
  쿠크다스 2,990                    
  우유200ml*3 2,000                    
  화이트하임 2,980                    
  배스킨라빈스 파인트 6,300                    
1/8 지니 목폴라 티셔츠*2         23,800            
  신한 옥션 이머니         -6,000            
  옥션 할인 쿠폰         -1,190         16,610  
  김밥 6,000                    
                         
                         
                         
                         
                         
                         
                         
  카드 사용계 83,330   3,030   31,610   0     117,970  
  월현금 합계   8,850   11,100   0   0 -7,060 12,890  
  월 총계 83,330 8,850 3,030 11,100 31,610 0 0 0 -7,060 130,860  
  연 총계 83,330 8,850 3,030 11,100 31,610 0 0 0 -7,060 137,920  

 

너무 내 가정과 사생활이 다 드러나네...

1월이 9일밖에 안 지나갔는데 생활비의 반 이상을 지출했다. 허걱...

그래도 월말이 되면 거의 맞아 떨어지니 참 신기하다.

부족한 금액은 예비비나 세금 적립한 것에서 조금 빌려 쓰고

담에 남으면 적립해 두고 뭐 그런다...

 

 

경조사나 세금은 월별로 한눈에 보기 위해 생활비 가계부 옆에 기록해 둔다. 이렇게...

 

날짜 내역 경조사 교통 세금 기타 합계 비고
               
1/1 12월 교통비 (신한)   44,000        
  12월 교통비 (국민)   19,400        
               
1/10 12월 사용 통신비            
  한빛방송 (TV)            
  가스비            
  관리비 (87,060원)            
  전기세 (TV시청료포함)            
  상하수도세            
  대출수수료            
               
1/7 주유   50,000        
               
  월 총계 0 113,400 0 0 0  
  연 총계 0 113,400 0 0 0  

 

 

휴우~

좀 복잡하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젠 가계부 작성하는 것이 내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 급여를 받으면

항목별로 나누어서 각 통장으로 이체시킨다.

예를 들어, 고정지출인 보험료, 적금 등은 하나로 묶어서 매월 관리하므로 한 금액으로 생각하고 자동이체 통장에 이체해 버린다.

또 경조사, 세금 등 미리 예산 세워놓은대로 각 통장으로 고고씽~

이러면 지출도 통제가 되고, 월급을 어디에다 뭐에 썼는지가 머리속에 잘 저장이 되니까 마음도 뿌듯하고...

 

올해는 또 연말까지 대출 2500만원 갚기 목표를 세운터라

남는 금액마다 무조건 대출 상환할 적립금으로 고고씽~

 

이히~

요즘은 그런 목표가 있으니까 살맛이 난다.

그리고 몸이 힘들어 직장을 그만두고 싶어도 목표를 이루고 싶어서 열심히 다니고 있다.

아이가 생기면 어차피 그만둘 직장이니까 다닐 수 있을 때까진 열심히 다녀야지...

여러 경제나 제테크 관련 글들을 읽으면서 내 방식을 나누고픈 마음이 생겨서 블로그를 만들어 보았다.

다른 글들을 읽으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고 그것을 토대로 내 방식대로 수정, 보완 해 보았다.

 

일단, 통장 쪼개기 방법부터~

얼마전 결혼하면서 내 급여만을 작성하던 가계부에서 남편 급여까지 더해지면서

작성하던 가계부를 수정 작업에 들어갔다.

또 통장쪼개기와 관련된 글들을 보면서 통장을 더 쪼개기 시작했다.

 

1) 급여통장

2) 자동이체통장

3) 비상금통장

4) 경조사통장

5) 세금통장

6) 생활비통장

7) 내용돈통장

8) 단기예치통장

 

성격이 꼼꼼하지 못하거나 귀차니즘이 심한 사람들은 이렇게 많은 통장을 관리하기 번거롭고 귀찮아 하겠지만

내가 직접 몇 개월 운용해보니 절약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아주 좋다는 뿌듯함이 든다.

 

우리가 흔히 4개의 통장은 많이 들어봐서 알테다.

거기서 나는 유동성 금액에 대한 예상이 어려워 통장을 더 세밀하게 쪼개 본 것이다.

 

1) 급여통장

급여통장은 말 그래도 급여가 들어오는 통장이다.

수수료 면제 혜택이나 여러가지 이득면에서 급여통장은 개설하는 것이 좋다.

나는 주로 인터넷뱅킹이나 스마트뱅킹을 사용하니까

수수료 이득을 결코 무시할 수가 없다.

그러나 급여가 들어오는 즉시 항목에 맞게 이체 시켜 놓아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2) 자동이체 통장

세금, 관리비, 보험, 적금, 카드결제계좌 등 자동이체는 한 통장으로 묶는다.

나는 CMA 통장에 모두 묶어놓고 결제일을 급여일과 멀게 잡아놓는다.

그러면 결제일이 되기 전까지 짧게는 열흘에서 길게는 15일까지의 기간동안

하루라도 이자를 받을 수 있으니 뿌듯한 기분이다.

매월 고정금액인 보험이나 적금은 미리 모든 합계 금액을 계산해 급여일에 한꺼번에 이체시켜 놓고 잊어버리면 된다.

예산 세울 때도 편하다.

 

3) 비상금 통장

통장쪼개기에서 추천하는 비상금 통장, 있으면 좋은 점이 일단 맘이 편하다는 거다.

갑자기 일이 생기거나 예기치 않은 지출, 또는 고정적이지 않은 지출이 생길 때 비상금 통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비(치과는 돈이 많이 들어 생활비에서 충당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생활비, 경조사비, 세금이 부족할 때 등.

급여를 받으면 매월 정기적으로 급여의 10%는 적립하고 있는 중이다.

많은 글에서 한달 생활비의 3배~6배 정도를 예비비로 가지고 있으라는 조언을 통해 실천 중이다.

필요한 금액만큼 쓰고 나면 또 적립해 두어야 담에 또 쓸 수 있으니 부지런히 적립 중이다.

비상금 통장 역시 언제 사용하게 될 지 모르니 적금으로 묶어놓으면 중간에 해지해야 하므로 CMA 통장이 좋다.

 

4) 경조사 통장

처음에는 고정지출을 제외한 금액에서 생활비와 경조사비, 세금 등 모두 같이 지출하였다.

그러다보니 지출 금액이 커지고 생각보다 경조사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적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경조사비는 급여에서 얼마를 책정하여 매달 정기적으로 적립해 두고

경조사 통장에서 소소한 것부터 큰 것까지 지출하니 한눈에 지출이 보이고 경조사 외에 생활비의 지출에 절제가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가족 회비, 부모님 보험료 등 고정적인 경조사 지출도 이곳에서 자동이체 시켜 놓으면 편리하다.

 

5) 세금 통장

경조사처럼 생활비와 같이 세금을 지출하다보니 지출 통제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세금 또한 경조사처럼 미리 예산을 짜서

일정금액씩 적립해 둔다. 세금 통장에서 교통비, 세금, 휴대전화요금 등이 지출되도록 해 놓으면 관리하기가 한결 편하다.

겨울에는 가스비를 고려하여 조금 더 예산을 세워 적립해 두면 좋다.

 

6)  생활비 통장

위에서 쪼개놓은 경조사, 세금을 제외한 금액이다.

주로 식비, 생활용품비, 의류비, 미용비, 기타...

매일 사용해야 하는 소소한 비용들을 위의 통장들에 다 쪼개 놓은 후 넣어두는 거다.

한달 정도 생활해 보면 얼마만큼을 생활비 지출로 예산을 세워야 할지가 나온다.

우린 아직 신랑이랑 두 식구이고 맞벌이라 한달 25만원 정도를 예산으로 세운다.

단, 생일이나 기념일 등에 사용되는 비정기적인 비용은 경조사 통장에서 사용한다.

여기서 잠깐! 많은 짠돌이,짠순이님들이 지출 통제가 어려워 신용카드를 굿바이 해야 한다는 견해가 많은데

혜택 많은 카드를 포기하기에는 아까워! 카드 잘 활용하는 방법... 다음 글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7) 내 용돈 통장

함께 쓰는 생활비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비용도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 생활비를 한달에 얼마씩 책정해서 쓰는데

아직은 신혼이라 별다르게 개인적으로 쓸 일이 없어서

남편과 나 각각 매월 5만원씩으로 책정되어 있다.

 

8) 단기예치 통장

이건 통장 쪼개기는 아니고, CMA 통장은 단기적으로 잠깐씩 맡겨 놓기에 괜찮다.

갑자기 목돈이 필요하거나 단기적으로 운용해야 할 비용이 있을 때

적금을 해지해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활용하는 통장이다.

그러나 1년 이상 묶어둘 금액이라면 정기예금을 추천한다.

CMA는 정기예금에 비해 금리가 약하기 때문이다.

 

여기까지 나의 통장 쪼개기 방식이다.

번거롭고 귀찮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나는 성격상, 틀을 만들어 놓고 그 틀 안에서 계획하는 것을 좋아하는 타입이라

이런 틀에서 수입,지출을 결산, 예산하는 것이 재미있고 뿌듯하다.

 

몇 개월 이렇게 사용하다 보니 요령이 생긴다.

경조사 통장과 세금 통장은 하나로 묶어도 무방할 듯 하다.

매월 예산을 세워 예산에 맞게 사용하다보니 적립되는 금액이 거의 없다능 ㅠㅠ

다만 입출금내역 기록은 따로 해서 한 눈에 보기에 좋게...

 

다음에는 가계부 쓰는 방법과 카드 제대로 활용하기 방법, CMA의 장점 등을 써 볼까 한다.

처음이다... 설레고 신난다.

'일상&알콩달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겠다~  (0) 2014.07.05
여름 휴가에서 들렀던 감포의 어느 횟집  (0) 2013.09.16
새 신을 신고 뛰어보자 팔짝~  (0) 2013.09.16
대학시절 동아리 친구들...  (0) 2013.09.16
고속도로 운전 인증샷~  (0) 2013.09.16

+ Recent posts